본문 바로가기

*Yuna Kim♥

기사 #연아의 럿츠는 '딜레이드 점프'

이계숙 SBS U포터 http://ublog.sbs.co.kr/slangslang

연아의 럿츠는 '딜레이드 점프'


그랑프리 1차 대회 에서 김연아가 프리스케이팅 연기를 하며 후반 단독 트리플 럿츠를 뛰자 CBC의 피겨 해설자 커트 브라우닝과 트레이시 윌슨은 '딜레이드 럿츠'라며 감탄사를 외쳤다.

딜레이드 점프란 점프 도약을 시작으로 최고 높이에 이르기까지 반바퀴 정도 회전하고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 빠르게 나머지 두반퀴 반을 회전하며 착빙하는 점프를 말한다.

이러한 점프는 회전수가 약간 지체된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그만큼 선수의 컨트롤이 중요시 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김연아가 이러한 딜레이드 점프를 보여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07년 그랑프리 파이널 쇼트에서 뛴 럿츠는 지금까지 김연아가 뛰어 온 럿츠 점프 중에서 가장 높은 퀼리티를 보여주는 점프 중 하나이다. 이때 구사한 트리플 럿츠는 느린 속도로 보지 않더라고 굉장히 회전이 여유로워 보인다.

딜레이드 점프를 뛰기 위해선 몇 가지 조건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석으로 점프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는 것이다.

럿츠 점프는 바깥쪽 날을 이용하며 다른 쪽 발로는 토픽을 찍어 뛰어오르는 점프이다. 플립 점프와는 달리 바깥쪽 엣지를 사용하여 점프를 뛰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역방향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제어하여야 하고 이것은 굉장한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다른 점프들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정상급 선수라고 하여도 트리플 럿츠 점프를 제대로 구사하는 선수는 많지 않고 남,여 선수를 통틀어 김연아의 럿츠 점프의 질이 가장 뛰어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김연아는 점프 테크닉을 정석으로 구사하고 있고, 프리로테도 거의 없기 때문에 딜레이드 점프를 뛸 수 있다. 특히 럿츠 점프는 김연아가 뛸 수 있는 점프 중에 가장 체공시간이 길기 때문에 딜레이드 점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점프를 뛸 때 엄청난 스피드를 사용하고 그 힘을 점프력으로 바꾸기 때문에 단순히 발목과 무릎의 힘으로 점프를 뛰는 선수들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딜레이드는 점프를 쉬워보이게 한다.

그동안 딜레이드 점프를 구사한 선수들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러시아의 일리야 쿨릭이다. 워낙 점프능력이 좋은 선수이기도 했지만 특히 현역 시절의 트리플 악셀은 역대 모든 선수들을 통틀어 가장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그가 구사하는 트리플 악셀은 도약에서 최고점에 이르기까지 거의 반바퀴 밖에 회전하지 않으며 정점에서 모든 회전수를 마치고 착지한다. 너무 여유롭게 착지하기 때문에 트리플 악셀이 별로 어려운 점프가 아닌듯한 착각까지 불러일으킨다.

가장 구사하기 어려운 점프 중에 하나인 트리플 악셀에서 딜레이드 점프를 뛸 수 있는 것은엄청난 노력도 있겠지만 타고난 점프 능력 때문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체코의 남자 싱글 선수 미칼 브레지나가 딜레이드 점프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트리플 룹 점프는 완전한 딜레이드 점프로 굉장한 점프 컨트롤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선수의 점프를 보면 점프 '능력에 대한 인간의 가능성은 어디까지 인가'라는 생각을하게 한다. 이제 갓 시니어에 데뷔한 선수로 그다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랑프리 4차 대회에서 3위에 입상한 만큼 장래가 기대되는 선수이다.

이렇듯 몇몇 남자 선수들이 딜레이드 점프를 보여주고 있지만 여자 선수 중에서 그것도 가장 어렵다는 트리플 럿츠에서 딜레이드를 보여주는 선수는 김연아가 유일하다.

피겨 해설자 트레이시 윌슨은 김연아를 '점프 능력으로 세계를 강타했다.' 라고 평가했다. 그만큼 그가 구사하는 점프는 지금껏 여자선수에게서는 보지 못한 힘과 속도를 갖고 있다. 김연아가 자신 있게 음악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이런 기술력이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여자선수들이 나이가 들수록 점프 능력이 퇴화되는 것과는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견고해지는 김연아의 점프 능력은 그 자체만으로도 높이 평가받을만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